매스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매스틱의 수확, 역사, 매스틱의 섬 키오스에 대한 이야기. 그리고 매스틱의 효과에 대한 의학 및 과학 자료들도 소개합니다.
Search
(주)매스틱코리아는 한국 최초의 매스틱을 함유한 치약조성물 특허를 가지고 있습니다. 헬리코박터와 치주 세균 예방이 핵심이죠. 이 특허로 국제 발명전에서 은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지금까지 제조하는 매스틱 치약 제품들에 적용되는 국내 유일의 매스틱 치약 특허 기술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 후로도 우리는 꾸준히 다양한 제품 개발에 도전했고, 새로운 발명 특허에도 계속 도전해 왔습니다.
매스틱 오일 특허 등록
기존의 매스틱 치약 조성물에 대한 특허에 더해 최근 우리는 위 건강 개선 및 헬리코박터균 억제를 위한 매스틱 조성물을 개발하여 3종의 발명 특허를 등록 완료했습니다!
원천 발명의 명칭은 “위 건강 개선 및 헬리코박터균 억제를 위한 매스틱 및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용도“입니다. 좀 길기는 하지만, 발명의 명칭 자체에서 매스틱을 함유한 이 특허 조성물이 가진 효과를 아주 명백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우리가 “매스틱스 매스틱 오일” 제품 개발과 특허 등록까지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습니다. 한 단계 한 단계 쉬운 일이 없었죠. 헬리코박터 항균 시험은 특히 더 긴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시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도 몇 번이나 제조업체를 변경해야 했죠.
하지만, 결국 우리가 받아낸 특허증이, 그리고 등록된 발명의 명칭이 그 정직한 노력에 대한 보상이라 생각합니다. 정말 기쁜 일입니다!
구강 관리에서의 특허 활용
이번에 등록된 이 식품 조성물은 핵심적인 효과는 헬리코박터균 억제입니다. 이 특허 기술은 먹는 식품 뿐 아니라, 치약과 가글에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음식이 위로 들어가는 통로인 구강이 헬리코박터의 감염 통로가 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헬리코박터 보균자의 잇몸에서 헬리코박터가 종종 발견되죠.
그래서 이 특허를 치약과 가글에 활용한 파생 특허도 등록되었습니다. 매스티키스 매스틱24K치약과 매스티키스 프레시 가글 제품이 이 특허 기술이 처음 적용된 구강 제품들이죠.
(주)매스틱코리아는 앞으로도 꾸준한 연구 개발, 좋은 품질의 제품으로 고객 여러분의 성원에 보답하겠습니다!
매스틱 특허
대장암은 우리나라 10대 암의 하나이며, 전세계 발병률 1위의 암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암에 관한 내용을 읽으면 괜히 불안합니다. 생각해 보세요! 대장암의 증상으로, 잦은 복부 팽만감과 변비, 빈혈, 체중감소, 잔변감 등이 있다고 하는데.. 이런 증상 한번도 없는 분 계신가요?
“혹시… 나도 암??”
질병에 관한 내용은 건강한 사람도 불안하게 만드는 것 같습니다. 물론, 대장암의 증상이 건강한 사람들에게도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해서 나는 문제가 없을거라고 무조건 단정 지을 순 없겠죠.
매스틱이 위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이미 다들 알고 계십니다. 그리고 이전 포스트에서 알려드린 것처럼, 매스틱은 항종양 활성으로 암을 억제한다는 것을 아실텐데요. 이번에 소개하는 논문은 매우 고무적입니다. 대장암의 일종인 결장암에 대한 매스틱의 효능에 관한 것인데, 간단히 말해, 결장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것입니다. 아래 논문을 번역한 내용이 있습니다.
Dietary mastic oil extracted from Pistacia lentiscus var. chia suppresses tumor growth in experimental colon cancer models
•
PMID: 28630399
•
PMCID: PMC5476564
Abstract
Plant-derived bioactive compounds attract considerable interest as potential chemopreventive anticancer agents. We analyzed the volatile dietary phytochemicals (terpenes) present in mastic oil extracted from the resin of Pistacia lentiscus var. chia and comparatively investigated their effects on colon carcinoma proliferation, a) in vitro against colon cancer cell lines and b) in vivo on tumor growth in mice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Mastic oil inhibited – more effectively than its major constituents- proliferation of colon cancer cells in vitro, attenuated migration and downregulated transcriptional expression of survivin (BIRC5a). When administered orally, mastic oil inhibited the growth of colon carcinoma tumors in mice. A reduced expression of Ki-67 and survivin in tumor tissues accompanied the observed effects. Notably, only mastic oil -which is comprised of 67.7% α-pinene and 18.8% myrcene- induc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ti-tumor effect in mice but not α-pinene, myrcene or a combination thereof. Thus, mastic oil, as a combination of terpenes, exerts growth inhibitory effects against colon carcinoma, suggesting a nutraceutical potential in the fight against colon cancer.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showing that orally administered mastic oil induces tumor-suppressing effects against experimental colon cancer.
초록
피스타치아 렌티스커스 치아 변종에서 추출한 식이 매스틱 오일이 실험성 결장암 표본의 성장을 억제한다.
그리스어로 마스티호호리아는 매스틱 마을이라는 뜻입니다. 키오스 섬 전체가 다 매스틱 마을이 아닌 이유는 뭘까요? 왜 매스틱이 나오는 마스티호호리아가 따로 있는 건지 소개합니다.
키오스 섬 남부에만 있는 매스틱 마을
이미 설명드린 것처럼 매스틱은 키오스 섬에서만, 그것도 섬의 남부지역에서만 재배되고 생산됩니다.
키오스 남부에는 매스틱을 재배하는 24개의 매스틱 마을이 있는데 오늘 그 얘기를 나눠 볼까 합니다.
매스틱 마을의 그리스식 이름을 영어로 음역하면 Mastihohoria [마스티호호리아] 혹은 Mastichoria [매스틱호리아]인데, 검색창에 매스틱호리아를 검색하면 우리 매스틱코리아가 검색되네요. 
그만큼 아직 국문 자료가 많지 않다는 뜻이겠죠. Mastihohoria는 영어로 mastic villages, 즉 매스틱 마을이란 뜻입니다.
매스틱 마을의 기초는 비잔틴 시대였던 기원 9세기에 놓였습니다.
그리고 1346에서 1566년, 제노아가 이 섬을 통치하던 기간에 매스틱 재배가 체계화 되었고, 바로 이때 키오스 남부에 매스틱 마을 22개가 형성됩니다. (지금은 24개의 마스티호호리아가 있어요~)
무역과 사업에 능하였던 제노아인들은 이 22개의 마을을 잘 조직하여 매스틱의 생산을 늘리고, 당시 에게해에 창궐했던 약탈자들로부터 소중한 매스틱을 보호하려 한것이죠.
참고로 신대륙을 발견한 콜럼버스는 제노아 출신이라고 알려져 있기도 하죠? 그런데, 콜럼버스가 이 섬 출신이고 그 당시 키오스 섬이 제노아 통치 아래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알려졌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콜럼버스와 키오스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포스트에서 읽어 보세요~ (콜럼버스의 매스틱, 황금 그리고 고향)
그래서 매스틱 마을들은 바다에서 잘 보이지 않는 곳들에 마치 요새처럼 지어졌습니다.

매스틱 마을 - 마스티호호리아